로그인

[ 회원가입하기 ]
간단합니다.
PC와 모바일 겸용 ID 생성.


아이디/비밀번호 찾기는 PC버전에서 가능합니다.
(메뉴-PC버전 버튼)


학과 구성원(동문 포함)이면 누구나 로그인 후 좋은 소식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함께 나눠요.
* 하나의 행사는 게시글 하나에 한꺼번에 올리세요. (사진 15개까지 가능)
* 본문삽입한 첨부사진의 설명은 해당사진마다 바로 밑에 넣어주세요.

전대 산업공학 뉴스 총 235 건

  13 April 2014, Sun by 14 박용석


네 꿈으로 창업하라!

                                                                                                      ()쓰리닷(Three dot) 대표 송승한

2014328일 오전 9, 꿈꾸는 대로 창업을 하는 내용이 담긴 이야기가 네 꿈으로 창업하라라는 글귀와 함께 산업공학과 학생들에게 펼쳐졌다.

a9e192ab48433c988e7bab6ac230a5bc.jpg

<네 꿈으로 창업하라!>

 송승한 대표는 조선대학교를 나와 금호타이어와 LG에서 디자인과 관련해서 일을 하였고 실시간 검색어 1위에도 올랐으며 여러 군데에 강연을 다닌다. 재능기부단체인 허버드림공동대표, ‘무등벤처포럼부회장, ‘코끼리사회이사로 있는 등 여러 사회활동을 한다. 그리고 ()쓰리닷의 공동 창업멤버이다. 쓰리닷은 브랜드컨설팅, 디자인컨설팅 등을 하는 회사이다. 화덕쟁이, Ryoma, 아스팔트도 쓰리닷에서 컨설팅을 했다고 한다.

 7cebc9e37cd44c3fd122cccd22052e08.jpg

<창업, Global issue, 송승한 그리고 꿈>

 강연내용은 창업, Global issue, 송승한 그리고 꿈 이렇게 크게 세 가지로 나뉘었다.

 첫 번째는 창업이다. ‘Google wants you to live 170 years.’ 우리의 수명이 연장될 것이라는 말이다. 수명이 연장되면 당연히 좋겠지만 이게 불행이 될 수도 있다. 수명이 연장되면 나이가 들어 회사를 나오게 될 것이고 그 이후 돈 문제로 인해 불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필요한 게 창업이다. 창업에는 생계형 창업과 기업형 창업이 있다. 기업형 창업은 리스크가 크므로 젊을 때 하는 것이 좋다. 반대로 생계형 창업은 기업형 창업보다 안정적이므로 나중에 해도 괜찮다. 그러나 창업은 아직까지는 우리나라에서 하기엔 어렵다. 미국과 우리나라를 비교해봤을 때 미국은 창업을 하기 좋은 반면 우리나라는 대기업 때문에 창업을 하기에 무리가 있다. 이에 대해 송승한 대표는 대기업이 중소기업의 기술자를 데려가 기술을 뺏어가고 독점하려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한 예로 애니셀(anycell)’이라는 차세대 전지를 만드는 회사가 특허등록을 하자 삼성에서 애니콜(anycall)’과 유사상표임을 내세워 소송을 제기하는 일이 있었다. 우리나라는 졸업생의 반 이상이 공무원을 준비한다. 그 이유는 창업에 실패하면 신용불량자가 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직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미국은 창업에서 실패한 사람부터 지원해주는 시스템이 있다. 만약 A라는 사람이 창업에서 실패하게 되면 A를 우선순위 지원자로 선정하고 제일 먼저 지원을 해준다. 이와 같은 사례를 볼 때 우리 나라에도 이러한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창업에 성공하는 한 가지 팁은 잘 만드는 사람잘 파는 사람이 함께 있는 팀, 발명가가 아닌 사업가가 있어야 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Global issue이다. 'Money from Ideas'. 아이디어로 돈을 번다는 말이다. 요즘은 전통적인 제조업에서 제조2.0단계로 바뀌었다. 제조2.0은 아이디어만 있으면 시제품을 제작하고 소셜 펀딩을 통해 투자를 받고 생산, 유통까지 가능하다. 여기서 소셜 펀딩이란 아이디어를 사이트에 올리고 투자자들에게 지원을 받는 것이다. 미국과 영국에 kickstarterindiegogo가 유명하다. 국내에도 있지만 이 사이트는 아이디어를 모든 사람에게 공개해서 별로 추천하지는 않는다. 아이디어만 있으면 돈을 벌 수 있다는 게 이제는 가능하다. 이렇게 아이디어를 웹사이트에 알려주고 그 사이트에서 인적자원과 기술자원을 지원받아서 성공을 한 경우가 많다. 그 중에 페블 스마트워치가 있다. 그리고 Subscription commerce라는 전문가들이 선정한 좋은 제품을 큐레이션을 통해 정기적으로 제공받는 서비스가 있는데, 그 중에도 송승한 대표는 MEMEBOX를 언급했다. MEMEBOX 그러한 지원을 받아서 놀라운 성장을 이뤄냈다고 한. MEMEBOX 올해 300억원 이상의 가치를 예상하고 있다. 이렇게 아이디어만 있으면 창업의 길은 무한히 열려있다.

 e0a2ae56b572d6d3c1561c991da3e29d.jpg

<송승한 그리고 꿈>

 세 번째는 송승한 그리고 꿈이다. 이 파트는 송승한이라는 사람의 과거에서부터 창업하기까지, 그리고 현재까지 살아오면서 있었던 많은 일과 꿈이라는 것에 대한 내용이다. 이 부분을 송승한 대표는 자랑스러워하고 뿌듯하며 가장 해주고 싶었던 이야기라고 했다. 송승한 대대표가 5살 때 아버지가 돌아가셨고 어머니가 홀로 남아 자식을 키우셨다. 그는 가난하게 살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자신을 잡아줄 사람이 없다보니 나쁜 길로 빠지게 되었고 중학교 때부터 담배, 술은 물론 클럽까지 다녔다. 고등학교에 올라와서도 마찬가지였고 이를 보다 못한 어머니가 300만원을 보여주며 4년제 대학에 들어가면 주겠다고 약속했다. 송승한 대표는 공부에 전혀 뜻을 두고 있지 않다가 이제야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 수능 준비를 하였다. 그는 평소 외우는 것에는 자신이 있어서 문제집 해설지만 무조건 외웠다. 그렇게 해서 당당히 조선대학교에 들어가게 된다. 하지만 대학교에서도 마찬가지로 클럽을 다녔다. 그러던 중 군대에 갔다 오고 나서 클럽을 끊지만 이제는 게임폐인이 된다. 그렇게 지내다가 3학년 때 이렇게 계속 살아갈 수는 없어서 자신에 대해 곰곰이 생각하게 된. 송승한 대표가 본 자신은 관찰력이 좋고 암기력이 좋았다. 그는 그 자신이 왠지 성공할 것만 같은 느낌이 들었고 그에게는 헌신적으로 자신을 사랑해주는 엄마가 계셨다. 그래서 공부를 해서 여러 공모전에 참가하게 되고 LG 공모전에서 1등을 했고 LG에 입사했다. 그러다 마음이 맞는 친구들 2명을 만났고 그렇게 꿈(어떤 꿈?)이 생겼다. 그는 그 꿈을 찾아 친구들과 쓰리닷이라는 회사를 만들었다. '내가 나를 알면 나는 소중하다' 송승한 대표가 해준 말이다. 나를 찾아 꿈을 갖게 되면 그건 바로 현실이 된다. 꿈꾸는 다락방책에서 나오는 [Real is Vivid Dream], R=VD라는 방정식이 바로 이것이다.

 

 

구름 같은 꿈

                                                             송승한

꿈은 구름처럼 잡힐 듯 잡히지 않는 밀당을 해주시고

그 속은 보이지 않게 불투명하지만

내 눈을 빛나게 하는 실버라이닝을 갖고 있으며

가끔은 용의 모습으로 나를 놀래고 먹구름으로 나를 우울하게 만들지만

  <!--[if !vml]--><!--[endif]-->  그것은 비가 되어 나를 만나기 직전의 모습인 것을

d6ec5861323e69b4313a32fa3fe16171.jpg

'꿈에 도달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창업입니다' 송승한

7eb149ef15eac8de5784145cad9df386.jpg

 < 단 체 사 진 >

창업에 대한 송승한 대표의 의견을 직접 들어보도록 하겠다.

Q&A

Q1. 왜 쓰리닷인지..?

A1. 쓰리닷 세 명이서 창업을 했는데 셋 다 스타일이 달랐다. 처음엔 많이 싸웠는데 서로 의견을 조율하고 균형을 맞춰서 결국에 이루어냈다. 그것을 바탕으로 3의 법칙을 발견할 수 있었고 3개의 점이 균형을 맞춰 네모라는 큰 틀을 맞추는 로고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다.

 

Q2. 창업에 성공한 사례라든지 관련 자료를 볼 수 있는 곳 좀 알려주세요..

A2. Venture square, besuccess에서 창업관련 정보를 볼 수 있고 페이스북에서 '송승한'에 친구추가를 걸면 관련 정보를 볼 수 있다.

 

Q3. 학창시절에서 지금으로 변화하게 되는 계기..?

A3. 나는 승부욕이 강했다. 공모전에서 열심히 했는데 다른 사람이 상을 받았고 그 사람은 평소 교수님에게 예쁨 받는 학생이었다. 그때부터 실력으로 보여주겠다며 더 열심히 해서 다른 공모전에 참가했다. 한 가지 예로, 핸드폰 관련 공모전에 참여했었다. 예전부터 핸드폰에 관심이 있었기 때문이다. 핸드폰 용어들이 어려웠지만 나만의 장기인 암기력을 이용해 싹 다 외워버렸다. 거기에 자신의 창의력이 더해져서 공모전에서 1등을 할 수 있게 되었다.

 

Q4. 본인이 하는 사회적 활동에 대해서..

A4. 여러 군데에 사회봉사를 다니고 있고 허버드림(Have a dream) 활동을 하였다. 그러는 도중 가수 김진호 씨가 재능기부를 하고 다니는 걸 접하게 되었고 그와 함께 콘서트를 여는 것이 또 하나의 목표가 되었다

 

Q5. 이러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

A5. 정보들은 찾으면 나온다. 이번 강연을 하면서 엄청나게 많은 기업들을 소개해주었다. 이것들을 한 번씩 다시 보거나 더 많은 정보를 원한다면 온라인(페이스북)과 오프라인(다양한 신문) 모두 잘 찾아보면 좋다.

 

처음에 교수님께서 송승한 대표께 강연을 요청을 드렸을 때, 송승한 대표는 일본으로 가야하기 때문에 이 강연을 못 할 것 같다고 했었다. 하지만 기가 막히게도 조금의 틈이 있어서 그 틈새에 강연을 해주시고 바로 떠나셨다. 바쁜 와중에 귀중한 시간을 내 소중한 말을 해주고 가신 송승한 표에게 감사의 인사와 존경의 박수를 보낸다.

http://ie.jnu.ac.kr/65513

첨부 [5]
댓글 [1]
주요 최신글 기분 좋은 관심. 댓글에서 시작합니다.
2025학년도 1학기 수강취소 안내(25. 03. 27.(목)... 24 views    13 March 2025, Thu by 20배정현 ❍ 신청기간: 2025. 3. 27.(목) 09:00 ~ 3. 28...
0 Reply
2025학년도 공과대학 취업서포터즈 모집(~3/19수) 28 views    13 March 2025, Thu by 20서민석 2025학년도 공과대학 취업서포터즈 1. 목 적 -...
0 Reply
2025년도 『전남대학교 빌드업 집단상담 프로그램(... 21 views    13 March 2025, Thu by 20배정현 안녕하세요! 전남대학교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재학...
0 Reply
공학교육혁신센터 2025학년도 Capstone Design 지... 35 views    12 March 2025, Wed by 21윤승현 공학교육혁신센터에서는 전공 이론에서 축적한 문제...
0 Reply
2025학년도 1학기 「이뭣고-교학상장」 공모 안내(... 30 views    12 March 2025, Wed by 박찬민 교육혁신본부에서는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력 향...
0 Reply
제26기 전남대학교 학생홍보대사 선발 공고(3/17월... 20 views    12 March 2025, Wed by 21윤승현 제26기 전남대학교 학생홍보대사를 아래와 같이...
0 Reply
2025년 서울희망대학진로 장학금 장학생 선발 안내... 22 views    12 March 2025, Wed by 22고의현 가. 장학금명: 서울희망대학진로 장학금 나. 선...
0 Reply
2025학년도 하계 계절학기 개설교과목 수요조사 실... 30 views    11 March 2025, Tue by 24김소윤 2025학년도 하계 계절학기 개설교과목에 대한 수요...
0 Reply
인공지능혁신융합대학사업단 2025년 1학기 캡스톤디... 27 views    11 March 2025, Tue by 22전은서 1. 캡스톤디자인 과제 지원 개요 가. 목적 1)...
0 Reply
일주학술문화재단 2025년도 33기 국내학사 장학생 ... 28 views    10 March 2025, Mon by 22전은서
0 Reply
2025학년도 1학기 CNU 학습공동체 공모 안내 (~... 208 views    10 March 2025, Mon by 20서민석 교육혁신본부 교수학습센터에서는 대학생 간 협력...
0 Reply
2025학년도 1학기 행정업무보조 국가근로장학생 희... 63 views    07 March 2025, Fri by 22고의현 2025학년도 1학기 행정업무보조 국가근로장학생 희...
0 Reply
2025학년도 1학기 공과대학 취업교과목 '핵심취ㆍ... 42 views    06 March 2025, Thu by 20배정현 공과대학 취업교과목 '핵심취ㆍ창업전략' 청강 안...
0 Reply
2025학년도 1학기 대체교과목 신청 안내(~3/10월) 44 views    05 March 2025, Wed by 22고의현
0 Reply
2025학년도 1학기 '천원의 아침밥' 제공 안내 43 views    04 March 2025, Tue by 22전은서
0 Reply
2025학년도 1학기 1차 폐강 교과목 및 수강정정 ... 60 views    28 February 2025, Fri by 24김소윤 2025학년도 1학기에 개설된 교과목 중 「전남대학...
0 Reply
2025학년도 제1학기 추가 등록/휴학,복학 공고(3. ... 113 views    24 February 2025, Mon by 20배정현 025학년도 제1학기 추가 등록 공고 우리 대학교에...
0 Reply
2025학년도 신(편)입생 학생증(스마트카드) 발급 신... 314 views    19 February 2025, Wed by 20서민석 <2025학년도 신(편)입생 학생증(스마트카드) 발급 신...
0 Reply
두근두근 엔지니어링 프로젝트(선후배멘토링) 18기 ... 66 views    19 February 2025, Wed by 22전은서 1. 프로그램 내용 가. 활동보고서 내용 구성...
0 Reply
2025년 후반기 ROTC 66·67기 모집 안내(3/4화~4/... 286 views    19 February 2025, Wed by 22전은서 2025년 후반기 학군사관 66 · 67기 후보생을 모...
0 Reply
2025학년도 대학생활안내 610 views    18 February 2025, Tue by 20서민석 신입생 및 재학생에게 쉽고 유용한 대학생활 정보...
0 Reply
2025학년도 입학식 안내 (2/28 금 14:00) 80 views    14 February 2025, Fri by 24김소윤 2025학년도 입학식 안내 1. 일시: 2025. 2. 28....
0 Reply
제73회 2024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졸업식 02/26수... 230 views    12 February 2025, Wed by 20서민석 1. 일시: 2025. 2. 26.(수) 10:00 2. 장소: 전...
0 Reply
장학사정 개별항목 점수 확인 (~02/11화13:00) 351 views    10 February 2025, Mon by 박찬민 장학사정을 이 홈페이지 [학사안내 - 장학 안내]...
0 Reply
[KT그룹 희망나눔재단] 2025년 KT디지털인재장학금... 66 views    07 February 2025, Fri by 24김소윤 KT그룹 희망나눔재단에서 2025년 KT디지털인재장...
0 Reply
2025학년도 1학기 한국장학재단 학자금 대출 신청... 66 views    07 February 2025, Fri by 24김소윤 2025학년도 1학기 학자금 대출 기본계획을 붙임과...
0 Reply
복수전공 졸업요건 486 views    06 February 2025, Thu by ㅑㅑ 복수전공생은 교필은 듣지 않아도 되지만 그 과의...
1 Reply
2024학년도 공과대학 「국제교류 공헌장학생」 추천... 120 views    06 February 2025, Thu by 박찬민 우리 공과대학에서는 국제화 감각 향상 및 글로벌...
0 Reply
2025학년도 주거안정장학금 신청 안내(2/2화~3/18화 ... 73 views    04 February 2025, Tue by 20서민석 <2025학년도 주거안정장학금 신청 안내> 가. 신청...
0 Reply
I♡E 2024학년도 외국어 및 자격증 시험 응시료... 1009 views    24 January 2025, Fri by 박찬민 I♥E 외국어 및 자격증 시험 응시료 지원 ...
0 Reply
TOP 
[ PC 버전 ]
Copyright © 전남대학교 산업공학과. All Right Reserved.